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급발진 차량 순위와 급발진 대처 방법 총 정리

카테고리 없음

by 이용용이 2023. 2. 24. 10:22

본문

반응형

급발진-사고
급발진-사고

1. 급발진 이란?

운전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차량이 급가속하는 현상을 말한다.

 

스로틀을 끝까지 개방한 것(자동차 액셀을 끝까지 밟은 것)처럼 엔진 RPM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차량이 돌진하는 현상을 말한다.

 

2. 급발진 차량 순위는?

제조사별로 보면 현대차 사고 비중이 47%(95건)로 절반 가량 차지 한다. 기아차 29건, 르노코리아 18건, BMW 15건, 쌍용차 11건, 한국GM 9건, 벤츠 7건, 폭스바겐 6건, 도요타 3건, 혼다 3건 으로 조사 됐다.

3. 급발진으로 국민들에게 마음을 아프게 한 사건

급발진-차량
급발진-차량

최근에 방송되었던 한블리의 프로그램에서 급발진 사건을 다루었다. 일명 도현이 사건으로 불린다.

 

어떤 사고인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설명해 드리면 작년 12월 6일에 60대 여성 운전자 할머니가 12살 손주(도현이)를 태우고 집에 가던 중에 일어난 사고이다.

 

이 사고로 인해 할머니는 중상을 입어 수차례 큰 응급 수술을 받고 도현이는 목숨을 잃고 말았다. 할머니의 마음이 어땠을까?

 

사고 당시 블랙박스 영상을 확인했더니 이게 왜 안돼 이러면서 당황한 할머니의 음성과 위험을 직감한 마지막 추락 직전까지도 도현이 이름을 애타게 부르는 할머니의 목소리가 그대로 담겨 있었다. 

4. 도현이 할머니가 경찰서로 입건?

도대체 왜 도현이 할머니가 입건된 상황일까? 블랙박스 영상만 보고 들어도 전체 상황을 알수 있을 텐데 이해가 안 되는 상황이다. 법이 왜 이럴까? 답답함이 밀려왔다.

 

자동차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EDR(자동차 운행기록)지표는 믿을수가 없다.

 

유가족 분들은 하루아침에 12살 자식을 잃은 것도 너무나 큰 슬픔인데 왜 할머니를 가해자로 몰아 더 큰 슬픔에 빠지게 한 건지 이해하려 해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

 

눈뜬 장님이 아닌 이상 일반적인 교통사고가 아니다. 전문가들 역시도 급발진 상황일 확률이 높다고 보고 있는 상황이다.

 

도현이 아버지는 어머니가 가해자로 몰리는 상황을 두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여 직접 증거를 수집하고 힘든 싸움을 하고 있는 중이다.

5. 믿고 보는 한블리의 판단은?

한블리
한블리

한블리 한문철 변호사는 만약 할머니가 기소로 송치되어 잘못이라고 판단한다면 한블리 본인이 직접 무죄를 받아오겠다고 밝혔다.

 

유가족 입장에서 한문철 변호사의 선언은 큰 힘이 되어 줄 것으로 보여진다. 제발 다시는 이런 의심 사례가 근본적으로 해결되길 진심으로 바란다.

 

앞으로 급발진 차량에 대한 해결책도 제시되어 입법도 추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6. 자동차 급발진 대처 방법은?

주행중에 갑자기 속도가 올라간다면 가속 페달인지 브레이크 인지 확인 한 다음 브레이크를 한번에 강하게 끝까지 밟아야 한다. 나눠서 밟으면 브레이크가 더 작동하지 않는다.

 

그 다음 전방을 주시하면서 기어를 N(중립)에 놓아야 한다. 기어를 P(파킹)에 놓으면 핸들 조작이 어려워진다. 그럼에도 속도가 줄지 않으면 수동기어로 조작해 엔진브레이크를 잡아야 한다.

 

이외에도 속도가 줄지 않는다면 도로 가드레일에 차를 밀어붙혀 강제로 차가 정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단 정면 충돌은 피하고 사이드쪽으로 박아야 한다. 자동차가 멈췄다면 기어를 P(파킹)에 놓고 시동을 끈 후 차에서 대피한 후 후속 대처를 취하면 된다.

 

급발진이라는 증거를 남겨야 한다. 블랙박스는 꼭 오디오를 켜 놓아야 향후 재판에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2023.02.23 - [분류 전체보기] - 촉법소년 폐지 못하는 이유와 악용 사례 총 정리

 

촉법소년 폐지 못하는 이유와 악용 사례 총 정리

1. 촉법 소년이란? 형벌 법령에 저촉되는 행위를 한 소년이며 10세 이상 14세 미만의 소년이다. 형사 책임 능력이 없기 때문에 범죄 행위를 하였어도 처벌을 받지 않으며 보호 처분 대상이 된다. 2.

yongyong2.com

2023.02.09 - [우리가 알아야할 생활 정보] - 개정된 우회전 신호위반 기준 (2023년 기준)

 

개정된 우회전 신호위반 기준 (2023년 기준)

1. 도로교통법 개정 이유 최근 3년간(2019 ~ 2021년) 우회전 차량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총 56,730건으로 접수되었으며 이로 인한 사망자는 406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사망사고로 인한 건수가 많아

yongyong2.com

 

 

반응형

댓글 영역